2025년 세계 바둑계는 한국의 신진서 9단이 계속해서 지배하고 있습니다. 현재 Elo 레이팅 3884점으로 2위 왕싱하오(3714점)와 무려 170점 차이를 보이며 압도적인 격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수 차이는 바둑계에서 상당히 큰 실력 차이를 의미하며, 신진서의 세계 최강 타이틀이 여전히 견고함을 보여줍니다.
2025년 세계 바둑 랭킹 TOP 100
순위 | 이름 | 성별 | 국가 | Elo 점수 |
1 | 신진서 (Shin Jinseo) | ♂ | 대한민국 | 3884 |
2 | 왕싱하오 (Wang Xinghao) | ♂ | 중국 | 3714 |
3 | 박정환 (Park Junghwan) | ♂ | 대한민국 | 3679 |
4 | 커제 (Ke Jie) | ♂ | 중국 | 3674 |
5 | 딩하오 (Ding Hao) | ♂ | 중국 | 3672 |
6 | 양딩신 (Yang Dingxin) | ♂ | 중국 | 3662 |
7 | 당이페이 (Dang Yifei) | ♂ | 중국 | 3659 |
8 | 리쉬안하오 (Li Xuanhao) | ♂ | 중국 | 3656 |
9 | 리친청 (Li Qincheng) | ♂ | 중국 | 3644 |
10 | 리웨이칭 (Li Weiqing) | ♂ | 중국 | 3643 |
11 | 이야마 유타 (Iyama Yuta) | ♂ | 일본 | 3623 |
12 | 이치리키 료 (Ichiriki Ryo) | ♂ | 일본 | 3617 |
13 | 진위청 (Jin Yucheng) | ♂ | 중국 | 3605 |
14 | 판팅위 (Fan Tingyu) | ♂ | 중국 | 3604 |
15 | 투샤오위 (Tu Xiaoyu) | ♂ | 중국 | 3602 |
16 | 변상일 (Byun Sangil) | ♂ | 대한민국 | 3599 |
17 | 쉬자양 (Xu Jiayang) | ♂ | 중국 | 3599 |
18 | 미이팅 (Mi Yuting) | ♂ | 중국 | 3599 |
19 | 스위에 (Shi Yue) | ♂ | 중국 | 3597 |
20 | 쉬하오홍 (Xu Haohong) | ♂ | 대만 | 3597 |
21 | 자오천위 (Zhao Chenyu) | ♂ | 중국 | 3593 |
22 | 천쯔지안 (Chen Zijian) | ♂ | 중국 | 3587 |
23 | 리안샤오 (Lian Xiao) | ♂ | 중국 | 3584 |
24 | 랴오위안허 (Liao Yuanhe) | ♂ | 중국 | 3580 |
25 | 구즈하오 (Gu Zihao) | ♂ | 중국 | 3579 |
26 | 셰커 (Xie Ke) | ♂ | 중국 | 3577 |
27 | 시바노 토라마루 (Shibano Toramaru) | ♂ | 일본 | 3567 |
28 | 양카이원 (Yang Kaiwen) | ♂ | 중국 | 3562 |
29 | 강동윤 (Kang Dongyun) | ♂ | 대한민국 | 3559 |
30 | 이지현 (Lee Jihyun) | ♂ | 대한민국 | 3549 |
31 | 셰얼하오 (Xie Erhao) | ♂ | 중국 | 3536 |
32 | 김명훈 (Kim Myounghoon) | ♂ | 대한민국 | 3535 |
33 | 쉬에관화 (Xue Guanhua) | ♂ | 중국 | 3533 |
34 | 류위항 (Liu Yuhang) | ♂ | 중국 | 3532 |
35 | 신민준 (Shin Minjun) | ♂ | 대한민국 | 3525 |
36 | 펑리야오 (Peng Liyao) | ♂ | 중국 | 3523 |
37 | 투오지아시 (Tuo Jiaxi) | ♂ | 중국 | 3521 |
38 | 장치룬 (Jiang Qirun) | ♂ | 중국 | 3515 |
39 | 천시안 (Chen Xian) | ♂ | 중국 | 3514 |
40 | 장웨이제 (Jiang Weijie) | ♂ | 중국 | 3513 |
41 | 탄샤오 (Tan Xiao) | ♂ | 중국 | 3511 |
42 | 천야오예 (Chen Yaoye) | ♂ | 중국 | 3511 |
43 | 장타오 (Zhang Tao) | ♂ | 중국 | 3510 |
44 | 타오신란 (Tao Xinran) | ♂ | 중국 | 3509 |
45 | 이창석 (Lee Changseok) | ♂ | 대한민국 | 3504 |
46 | 김지석 (Kim Jiseok) | ♂ | 대한민국 | 3497 |
47 | 원성진 (Weon Seongjin) | ♂ | 대한민국 | 3497 |
48 | 김정현 (Kim Junghyun) | ♂ | 대한민국 | 3496 |
49 | 설현준 (Seol Hyunjun) | ♂ | 대한민국 | 3495 |
50 | 멍타이링 (Meng Tailing) | ♂ | 중국 | 3494 |
51 | 판인 (Fan Yin) | ♂ | 중국 | 3494 |
52 | 샤천쿤 (Xia Chenkun) | ♂ | 중국 | 3493 |
53 | 통멍청 (Tong Mengcheng) | ♂ | 중국 | 3485 |
54 | 위정치 (Yu Zhengqi) | ♂ | 일본 | 3480 |
55 | 강승민 (Kang Seungmin) | ♂ | 대한민국 | 3480 |
56 | 한우진 (Han Woojin) | ♂ | 대한민국 | 3478 |
57 | 이원영 (Lee Wonyoung) | ♂ | 대한민국 | 3475 |
58 | 쉬자위안 (Hsu Chiayuan) | ♂ | 일본 | 3474 |
59 | 롱이 (Rong Yi) | ♂ | 중국 | 3469 |
60 | 천윈눙 (Chen Yunong) | ♂ | 중국 | 3462 |
61 | 양동 (Yang Dong) | ♂ | 중국 | 3459 |
62 | 송지훈 (Song Jihoon) | ♂ | 대한민국 | 3454 |
63 | 황윤송 (Huang Yunsong) | ♂ | 중국 | 3452 |
64 | 안성준 (An Sungjoon) | ♂ | 대한민국 | 3448 |
65 | 박민규 (Park Minkyu) | ♂ | 대한민국 | 3446 |
66 | 구링이 (Gu Lingyi) | ♂ | 중국 | 3446 |
67 | 라이준푸 (Lai Junfu) | ♂ | 대만 | 3445 |
68 | 김진휘 (Kim Jinhwi) | ♂ | 대한민국 | 3441 |
69 | 안정기 (An Jungki) | ♂ | 대한민국 | 3441 |
70 | 최재영 (Choi Jaeyoung) | ♂ | 대한민국 | 3436 |
71 | 한이저우 (Han Yizhou) | ♂ | 중국 | 3434 |
72 | 심재익 (Sim Jaeik) | ♂ | 대한민국 | 3434 |
73 | 한태희 (Han Taehee) | ♂ | 대한민국 | 3433 |
74 | 박근호 (Park Geunho) | ♂ | 대한민국 | 3432 |
75 | 한승주 (Han Seungjoo) | ♂ | 대한민국 | 3432 |
76 | 안동쉬 (An Dongxu) | ♂ | 중국 | 3428 |
77 | 우광야 (Wu Guangya) | ♂ | 중국 | 3427 |
78 | 쉬징언 (Xu Jingen) | ♂ | 대만 | 3426 |
79 | 한상조 (Han Sangjo) | ♂ | 대한민국 | 3419 |
80 | 왕시이 (Wang Shiyi) | ♂ | 중국 | 3417 |
81 | 황밍위 (Huang Mingyu) | ♂ | 중국 | 3417 |
82 | 나현 (Na Hyun) | ♂ | 대한민국 | 3413 |
83 | 린준옌 (Lin Junyan) | ♂ | 대만 | 3413 |
84 | 박영훈 (Park Yeonghun) | ♂ | 대한민국 | 3407 |
85 | 차오샤오양 (Cao Xiaoyang) | ♂ | 중국 | 3405 |
86 | 문민종 (Moon Minjong) | ♂ | 대한민국 | 3404 |
87 | 쑨텡위 (Sun Tengyu) | ♂ | 중국 | 3402 |
88 | 천정쉰 (Chen Zhengxun) | ♂ | 중국 | 3401 |
89 | 야마시타 케이고 (Yamashita Keigo) | ♂ | 일본 | 3401 |
90 | 탕웨이싱 (Tang Weixing) | ♂ | 중국 | 3401 |
91 | 천치루이 (Chen Qirui) | ♂ | 대만 | 3401 |
92 | 천이춘 (Chen Yichun) | ♂ | 중국 | 3398 |
93 | 박상진 (Park Sangjin) | ♂ | 대한민국 | 3397 |
94 | 후야오위 (Hu Yaoyu) | ♂ | 중국 | 3396 |
95 | 박하민 (Park Hamin) | ♂ | 대한민국 | 3393 |
96 | 셴페이란 (Shen Peiran) | ♂ | 중국 | 3391 |
97 | 모토키 카츠야 (Motoki Katsuya) | ♂ | 일본 | 3391 |
98 | 홍성지 (Hong Seongji) | ♂ | 대한민국 | 3389 |
99 | 리하오통 (Li Haotong) | ♂ | 중국 | 3387 |
100 | 후즈하오 (Hu Zihao) | ♂ | 중국 | 3381 |
국가별 TOP 100 분포 현황
세계 랭킹 TOP 100에 포함된 선수들의 국가별 분포를 살펴보면 흥미로운 패턴이 나타납니다.
- 중국: 53명으로 가장 많은 선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TOP 10 중 8명이 중국 선수입니다.
- 한국: 29명의 선수가 포진해 있으며, 1위 신진서를 비롯해 3위 박정환 등 강호들이 상위권을 지키고 있습니다.
- 일본: 10명의 선수가 랭킹에 이름을 올렸으며, 이야마 유타(11위)와 이치리키 료(12위)가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 대만: 5명의 선수가 TOP 100에 들었으며, 쉬하오홍이 20위로 대만 선수 중 최고 순위입니다.
상위 20위 선수들의 Elo 레이팅 분석
상위 20위권 내 선수들의 평균 Elo 레이팅은 약 3627점으로, 이는 바둑계의 최상위 실력자들의 집합을 보여줍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 1위 신진서(3884)와 20위 쉬하오홍(3597) 사이의 레이팅 차이는 287점으로, 상위권 내에서도 실력 차이가 상당함을 알 수 있습니다.
- TOP 5 선수들(신진서, 왕싱하오, 박정환, 커제, 딩하오)의 평균 레이팅은 3724.6점으로 매우 높습니다.
- 10위 안에 한국 선수는 2명(신진서, 박정환), 중국 선수는 8명으로 중국의 바둑 강세가 두드러집니다.
연령대별 분포와 세대교체 현상
최근 바둑계에서는 젊은 선수들의 급부상이 눈에 띕니다. 특히 20대 초중반 선수들이 TOP 100에 대거 포진해 있으며, 이는 AI 바둑 프로그램의 등장 이후 바둑 학습 방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컴퓨터 바둑의 영향으로 젊은 세대가 새로운 정석과 전략을 빠르게 습득하면서 세대교체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여성 기사의 활약과 성별 분포
TOP 100 내 대부분의 선수는 남성이지만, 최근 여성 기사들의 성장세도 주목할 만합니다. 비록 TOP 100에는 여성 기사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중국의 저우홍위(197위, 3286점)와 탕지아원(200위, 3283점)을 비롯한 여성 기사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최정(105위, 3376점)은 여성 기사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세계적인 수준의 실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5년 바둑의 흐름과 전망
2025년 현재, 세계 바둑은 AI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바둑 스타일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치열한 경쟁 구도가 계속되는 가운데, 일본의 젊은 세대(시바노 토라마루 등)가 성장하면서 삼국의 균형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진서의 독주가 계속될지, 아니면 중국의 젊은 강자들이 그 차이를 좁혀갈지 주목됩니다. 또한 AI 학습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신예 선수들의 등장으로 바둑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상위권 판도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바둑 팬이라면 2025년 남은 기간 동안의 메이저 대회 결과와 랭킹 변동에 계속해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겠습니다. 특히 중국의 왕싱하오, 한국의 박정환, 중국의 커제 등 상위권 선수들 간의 맞대결은 세계 바둑의 흐름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Elo 점수란
Elo 점수는 바둑 선수의 실력을 수치화한 레이팅 시스템입니다. 원래 이 시스템은 체스 선수인 아르파드 엘로(Arpad Elo)가 개발한 것으로, 이제는 바둑을 포함한 여러 대국 스포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Elo 레이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대적 실력 측정: 선수의 점수는 다른 선수들과의 대국 결과에 따라 변동됩니다.
- 승패에 따른 조정: 높은 Elo 점수를 가진 선수가 낮은 Elo 점수를 가진 선수를 이기면 소폭 상승하지만, 반대로 낮은 Elo 점수의 선수가 높은 Elo 점수의 선수를 이기면 큰 폭으로 점수가 상승합니다.
- 예측 기능: Elo 점수 차이를 통해 두 선수 간의 예상 승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바둑에서는 일반적으로
- 3000점 이상: 프로 상위권 선수
- 2700~3000점: 프로 중상위권 선수
- 2400~2700점: 프로 하위권 또는 아마 최상위권
신진서 9단의 3884점은 굉장히 높은 수치로, 그가 현재 세계 최강의 바둑 기사임을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위 왕싱하오와의 170점 차이는 승률 예측 측면에서 상당히 큰 차이를 의미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UFC 종합격투기 기술 용어 사전 <모든 공격과 방어 기술 총정리>
UFC(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는 세계 최고의 종합격투기 대회로, 다양한 무술과 격투 스타일을 결합한 경기를 선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UFC에서 사용되는 주요 공격 및 방어 기술들을 상세히 설명
4.1cjhy.com
2025년 MLB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이정후 선수 예상 성적, 주요경기 다시보기, 타율 3할대 도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한국인 타자 이정후 선수가 2025년 시즌을 맞이하며 부상 복귀 후 완전체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024년 메이저리그 데뷔 시즌에서 시
4.1cjhy.com
UFC 각 체급별 실시간 랭킹 UFC 주요기술 역사
UFC(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는 세계 최고의 종합격투기 단체입니다. 1993년 설립된 이래, UFC는 복싱, 레슬링, 주짓수, 무에타이 등 다양한 격투 스타일을 결합한 종합격투기(MMA: Mixed Martial Arts)의 표
4.1cjhy.com